자녀증여세 공제한도는 누적이 아니므로
증여를 해 줄 때마다 3개월 내에 신고가 필수!
일반 증여로 10년에 2,000만원씩 증여한다면
증여 할 때 마다 3개월 내 증여신고를 해야 하고,
유기정기금 증여를 활용하더라도
한 번만 증여신고를 하면 된다.
일반 증여 및 유기정기금 증여 신고는 홈택스에서 가능하다.
(나는 유기정기금 증여로 했기 때문에
유기정기금 증여 한 것을 포스팅 하지만,
일반 증여신고도 동일하게 가능하다.)
자녀증여세신고방법
홈택스 - 자녀 명의로 로그인 - 세금신고 - 증여세신고 - 일반증여신고
홈택스에서 자녀증여세를 신고하기 위해서는
자녀 명의로 로그인을 해야한다.
회원가입부터 해주기
회원가입 - 개인

14세 미만의 미성년 자녀라면,
법정대리인의 휴대폰인증을 통해
가입을 할 수 있다.
나도 내 휴대폰 번호를 통해
아기 이름으로 가입 완료,

회원 가입이 완료되었다면
자녀 이름으로 로그인을 한 후
세금신고 - 증여세신고 - 일반증여신고
로 들어간다.

일반증여신고 - 현금증여 간편신고
탭으로 이동

그 후 기본정보를 입력
주민등록번호와 기본주소를 입력하게 되어있는데,
증여자/수증자가 입력되면
기본 주소는 알아서 나온다.

다음 화면에서는 증여받은 재산을 입력한다.
일반 증여인 경우 증여금액을 입력하면 되고,
나는 10년에 걸쳐 약 2,000만원을 증여하는
유기정기금 증여를 하려고 해서 20,499,999원으로 입력했다.
십의자리수는 내림이 되기 때문에
20,499,999원으로 입력 하면
과세표준 2,000만원으로 세금이 면제된다.

위의 증여재산가액을 입력하면
아래와 같이 신고서가 나오는데
신고서 내역을 확인 한 후 제출하기 클릭

제출이 완료되면
아래와 같이 접수증이 나오는데,
확인 후 오른쪽 하단의 증빙서류 제출 클릭

아래의 화면에서
신고일자를 기준으로 '조회'를 클릭하면
신고 내역 맨 오른쪽에 부속서류 제출이 있다.
(제출하기 전에는 Y 부분이 '제출하기'로 되어있어서
'제출하기'를 클릭하고 파일을 유첨하면 된다.)

증빙서류 제출은
아래와 같은 자유 형식의 증여 계약서를 유첨하면 된다.

'[일상다반사]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2025년 대한민국] 불기소 처분 개념 및 유형!! (0) | 2025.02.07 |
---|---|
[삼재(三災)란?] 의미와 피하는 방법 총정리 !! (0) | 2025.02.03 |
[체포적부심 청구 시] 필요한 서류!! (1) | 2025.01.17 |
[2025년 대한민국] 체포적부심 (逮捕適否審)!! (0) | 2025.01.17 |
[MBTI] INFP 분석 - 내향형(Introversion), 직관형(iNtuition), 감정형(Feeling), 인식형(Perceiving (1) | 2025.01.06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