AWS EC2 인스턴스는 기본적으로 스왑 메모리가 설정되지 않은 경우가 많기 때문에 직접 설정해야 합니다.
1️⃣ 현재 스왑 메모리 확인
먼저, 현재 스왑 메모리가 설정되어 있는지 확인합니다.
아래 명령어를 입력하여 확인할 수 있습니다.
또는
출력 결과에서 Swap: 항목이 0이면 현재 스왑이 없는 상태입니다.
2️⃣ 스왑 파일 생성
스왑 파일을 생성하려면 dd 또는 fallocate 명령어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.
예를 들어, 2GB(2048MB) 크기의 스왑 파일을 만들려면 다음과 같이 실행합니다.
🔹 dd 명령어 사용
🔹 fallocate 명령어 사용 (더 빠름)
3️⃣ 스왑 파일 권한 설정
스왑 파일은 보안상의 이유로 root 사용자만 접근할 수 있도록 권한을 설정해야 합니다.
4️⃣ 스왑 영역으로 변환
생성한 파일을 스왑 영역으로 변환하는 과정이 필요합니다.
5️⃣ 스왑 활성화
이제 다시 free -m 명령어를 실행하면 Swap: 항목에 값이 나타날 것입니다.
6️⃣ 부팅 시 자동 적용
재부팅하면 스왑 설정이 사라지기 때문에 /etc/fstab 파일에 등록해야 합니다.
이제 시스템을 재부팅해도 스왑이 유지됩니다.
7️⃣ 스왑 사용량 조정 (선택 사항)
리눅스는 메모리가 부족할 때 스왑을 사용하지만, 스왑 사용 우선순위를 조정할 수도 있습니다.
swappiness 값을 조정하면 커널이 스왑을 얼마나 적극적으로 사용할지 결정합니다.
현재 설정 확인:
기본값은 보통 60이지만, EC2는 SSD 스토리지를 사용하기 때문에 낮추는 것이 좋습니다.
예를 들어, 10으로 설정하려면:
영구적으로 설정하려면 /etc/sysctl.conf 파일을 수정해야 합니다.
8️⃣ 스왑 파일 삭제 (선택 사항)
스왑을 비활성화하고 제거하려면 다음을 실행하면 됩니다.
이제 다시 free -m 명령어로 확인하면 스왑이 삭제된 것을 볼 수 있습니다.
'[AWS] > EC2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중요][AWS] EC2 시스템 로그 S3 동기화 방안!! (0) | 2025.01.16 |
---|---|
[중요][Linux] Logrotate를 이용하여 로그 관리하기!! (0) | 2025.01.02 |
[중요][AWS] Amazon Linux 2023 Crontab 설치!! (0) | 2024.12.23 |